우리 역사의 천재 중에 한 분인 다산 정약용의 이야기를 해 보려 한다.엄밀히 말해서, 이야기의 시점은 정학유 즉 다산의 둘째 아들이 바라보는 입장에서 써 내려가는 이야기이다. 다산 정약용은 우리가 다 아는 것처럼 조선 후기 정조시대의 학자이다.인생에서 가장 활발한 나이에 18년간 유배 생활을 했다.그렇지만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실리를 앞세우며 백성들을 위한 방대한 책을 저술한위대한 사람이다.「목민심서」, 「흠흠신서」「경세유표」와 같은 농업, 사회 경제, 사상 등을 다룬 책으로 후대들의 머리에 각인된 책들로 유명하지만,유배 생활 동안 두 아들과 소통했던 편지 글이나 부인 또는 시집간 딸을 위하여 쓴 시화집 등도정약용의 가정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책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중에서 「..